본문 바로가기
부동산 정보

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하는 법

by real-estate-blog 2025. 7. 14.
반응형

주택 임대차 계약신고하는 법

월세 계약 했다면, 계약일 이후 30일 이내 주택 임대차 계약신고를 통해 주택거래를 공식적으로 인정받고,

확정일자까지 한 번에 해결하세요.

 

임대계약을 했다면 미루지 말고, 당일 또는 하루 이틀 내에 임대차 계약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으시길 바랍니다.

 

그래야  임대인이 추후에 경매나 공매 등으로 발생하는 불이익으로 우리의 (임차인)의 소중한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

우선변제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
 

저는 어제 월세계약을 마치고, 오늘 주택임대차계약신고를 했는데,

작성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하는 법

 

주택 임대차 계약신고 어디서 하나요?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에서 쉽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준비물 : 월세임대차계약서 jpg, pdf, png, tif, tiff , 10 Mbyte

-끝-

 

준비물은 이게 다입니다. 임대계약서를 사진을 찍어서 파일로 저장하면 됩니다. 

여기서 중요한 것은 용량이 10 Mbype 이내만 업로드가 된다는 점!

 

 

방법 및 순서

1. 로그인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에 별도의 가입 없이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.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로그인하는 법

 

 

2. 주택임대차계약신고 탭 클릭

로그인 후 주택임대차계약신고 탭을 누르면 거래인 작성, 임대목적물 작성, 임대 계약내용 작성, 공인중개사 작성 이 4가지 항목을 임차계약서에 나와있는 내용 그대로 빈칸에 넣어주면 됩니다.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로그인하는 법

 

 

3. 작성하기

1) 거래인 작성

  • 구분에서 임대인과 임차인을 선택한 후 계약서에 쓰여있는 대로 작성해 줍니다.
  • +거래인추가 버튼을 눌러서 임대인, 임차인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  • 임대인이 공동명의일 경우에는 두 사람 모두 작성해야 합니다. 계약서에 있는 내용 모두 기입하지 않으면 나중에 관할 공무원에게서 수정하라고 연락이 옵니다. 

2) 임대목적물 작성

  • 임대 목적물은 본인이 임대받은 집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입니다.
  • 이것 또한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는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면 됩니다.

주택임대차계약신고방법

 

 

3) 계약서 첨부하기

  • 준비된 계약서를 파일선택 탭을 눌러서 업로드한 후 파일 등록을 눌러줍니다.

계약서 첨부하기

 

 

4) 임대 계약 내용 작성

  • 이 부분은 계약한 날짜, 임대 기간, 임대보증금, 월임대료(월세)를 기입합니다.
  • 계약서와 똑같이 작성해 줍니다.

임대계약내용 작성

 

 

5) 공인중개사 정보 작성

  • 월세 계약한 공인중개사(부동산) 정보를 입력합니다.
  • 계약서에 나와 있는 데로 정보를 입력하면 되는데, 공동중개를 하는 경우에는 +중개사추가 탭을 눌러서 공동중개를 한 부동산 두 곳의 정보를 모두 입력해주어야 합니다.

 

공인중개사 정보 입력

 

✅ 1)~5)를 모두 작성하고 나면, 작성완료를 눌러줍니다.

 

6) 마지막으로, 전자서명까지 해주면 끝입니다.

  • 전자서명하기 버튼을 클릭하여, 로그인과 마찬가지로 카카오, 네이버 등간편 인증을 통해 전자서명을 할 수 있습니다.

임대차계약신고 전자서명하기
주택임대차계약신고 완료

 

전자서명까지 완료했다면, 관한 주민센터에서 톡이 올 거예요.

빠르면 2~3일 내에 임대차 신고가 완료될 수 있어요.

만약 계약서 내용과 신고한 내용이 틀릴 경우에는 수정요청 카톡이 올 거예요. 그때 내용을 제대로 수정하면 됩니다.

 

마무리

확정일자는 받아야 하는데... 주민센터까지 가기가 멀고, 귀찮다면?!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사이트를 통해 주택임대차계약신고로 확정일자까지 한꺼번에 받으세요!

반응형